1. 연산자 (Operators)
자바스크립트에서 연산자는 값을 계산하거나 비교할 때 사용됩니다.
- 수학 연산자: 더하기(+), 빼기(-), 곱하기(*), 나누기(/)등을 통해 숫자 연산을 할 수 있습니다.
let sum = 10 + 5; // 15
let product = 10 * 3; // 30
- 비교 연산자: 두 값을 비교할 때 사용합니다.
- == : 값이 같은지 비교 (자료형은 무시)
- === : 값과 자료형이 모두 같은지 비교
- != : 값이 다른지 비교
- !== : 값과 자료형이 모두 다른지 비교
console.log(10 == '10'); // true (자료형 무시)
console.log(10 === '10'); // false (자료형도 비교)
2. 조건문 (Conditional Statements)
조건문은 특정 조건에 따라 코드의 흐름을 제어합니다.
- if문: 조건이 참일 때만 코드를 실행합니다.
let score = 85;
if (score > 90) {
console.log('Excellent');
}
- else if, else문: 추가 조건이나 기본 동작을 처리합니다.
let (score > 90) {
console.log('Excellent');
} else if (score > 70) {
console.log('Good');
} else {
console.log('Try again');
}
- 삼항 연산자: 짧은 조건문을 작성할 때 유용합니다. 조건 ? 참일경우실행 : 거짓일 경우 실행의 형식으로 작성 됩니다.
let isMember = true;
let discount = isMember ? 10 : 0;
console.log(discount); // 10
- switch문: 여러 가지 경우를 처리해야 할 때는 switch문을 사용합니다.
let color = 'red';
switch (color) {
case 'blue':
console.log('파란색입니다.');
break;
case 'red':
console.log('빨간색입니다.');
break;
default:
console.log('알 수 없는 색입니다.');
}
- Optional Chaining (옵셔널 체이닝): 객체의 중첩된 속성을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. 값이 null이나 undefined일 때 오류 없이 undefined를 반환합니다.
let name = '';
let displayName = name ?? 'Guest';
console.log(displayName); // ''
- Nullish Coalescing Operator (??)
null이나 undefined일 때만 기본값을 지정하는 연산자입니다. || 연산자와 달리 빈 문자열이나 0 같은 falsy 값을 그대로 인정합니다.
let name = '';
let displayName = name ?? 'Guest';
console.log(displayName); // ''
- 불필요한 조건문 중복을 줄이고, 가독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.
예를 들어, else없이 return문으로 조건을 처리하면 코드가 더 간결해집니다.
function checkAge(age) {
if (age < 18) return '미성년자';
return '성인';
}
'백엔드 > 자바스크립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5. 자바스크립트 switch문 (1) | 2024.10.23 |
---|---|
4. 자바스크립트 반복문 (0) | 2024.10.23 |
3. 자바스크립트 논리 연산자 (Logical Operators) (0) | 2024.10.23 |
1. 자바스크립트 변수와 데이터 타입 (0) | 2024.10.21 |